지혜를 구하며
지혜를 구하며
하나님의 주권 아래에서 진정한 자유를 배우다
지혜를 구한다. 그리고 그 지혜가 내 안에서 희미해지지 않기를 다시 기도한다.
내가 말하는 지혜란 단순히 지식의 축적이 아니라, 하나님의 성품을 알아가며 그분의 주권 아래에서 진정한 자유를 누리는 것이다.
우리는 모두 알고 있다. 지혜의 근본은 하나님을 경외함에 있고, 그분께 순종하는 삶이 곧 바른 길임을. 그러나 삶의 현실은 늘 그 단순한 진리를 복잡하게 만든다. 어느새 나는 내 삶의 주권을 다시 쥐고, 그 사실조차 깨닫지 못한 채 내 감정과 판단을 중심으로 살아간다. 내가 옳다고 여기는 생각이 진리의 자리를 차지하고, 내가 원하는 결과가 선의 기준이 된다. 그 순간, 마음의 평안은 흔들리고 관계의 조화는 서서히 깨진다.
“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이 지혜의 근본이요,
거룩하신 자를 아는 것이 명철이니라.”
(잠언 9:10)
가끔은 믿음을 공유하지 않는 사람들에게조차 수긍될 만한 삶의 기준이 있을지 고민하게 된다.
‘흔들리지 않는 신념이란 과연 존재할까?
세상을 이롭게 하고, 나와 다른 사람과도 조화롭게 살아갈 수 있는 힘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하지만 세월이 쌓일수록, 그 답은 더욱 어려워진다. 인간의 마음은 늘 상황과 감정에 따라 요동치고, 확신은 이내 의심으로 바뀌기 때문이다.
“사람이 마음으로 자기의 길을 계획할지라도,
그의 걸음을 인도하시는 이는 여호와시니라.”
(잠언 16:9)
그렇기에 나는 오히려 세대를 넘어 이어져 온 신앙의 가치가 더욱 신뢰할 만하다고 느낀다.
그것은 일시적인 감정이나 시대의 유행에 흔들리지 않고, 수많은 고난과 시간을 거쳐 검증된 진리이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말씀은 단순히 한 시대의 교훈이 아니라, 모든 시대를 관통하는 생명의 언어다.
“풀은 마르고 꽃은 시드나,
우리 하나님의 말씀은 영원히 서리라.”
(이사야 40:8)
그러나 인간은 여전히 ‘내가 했다’는 확신에서 오는 자부심을 원한다.
그 성취감이 우리를 움직이게 하고 새로운 일을 시작하게 하는 동력이 되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그 효능감은 늘 짧고 덧없다. 내가 중심이 되는 순간, 성취는 곧 한계가 되고, 자부심은 교만으로 바뀌며, 평안은 사라진다.
지혜를 구한다는 것은 결국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고, 그 한계 속에서 하나님의 일하심을 받아들이는 일이다.
그 인정은 패배가 아니라, 오히려 진정한 자유의 시작이다. 주권을 하나님께 돌려드릴 때, 우리는 더 이상 스스로를 지탱하려 애쓰지 않아도 된다. 하나님이 내 삶의 주인이 되실 때, 나는 비로소 불완전한 나 자신으로부터 해방된다.
“너는 마음을 다하여 여호와를 신뢰하고,
네 명철을 의지하지 말라.
너는 범사에 그를 인정하라.
그리하면 네 길을 지도하시리라.”
(잠언 3:5–6)
지혜란 나를 통제하는 힘이 아니라,
하나님께 나 자신을 온전히 맡길 수 있는 담대함이다.
그분의 주권 아래에서 우리는 비로소 가장 인간답고, 가장 자유로워진다.
함께 들으면 좋은 찬양
어노인팅 – 「내가 예수를 못박았습니다」